주장, 제안, 명령, 요청, 의무, 필수 등을 나타내는 동사 및 형용사가 주절에 있을 때 that절의 동사는 반드시 <(should) +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

 

이때 should는 곧잘 생략) 주장, 제안, 명령, 요청 등을 나타내는 동사 + that

 

advise 조언하다

insist 주장하다

recommend 추천하다

ask 요청하다

order 주문하다

require 요구하다

command 명령하다

suggest 제안하다

request 요청하다

demand 요구하다

propose 제안하다

 

 

의무, 필수, 중요성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 + that

 

S +(should) + 동사원형 +that

essential 필수적인

important 중요한

necessary 필요한

imperative 필수적인

mandatory 의무적인

vital 중요한

 

 

 

자동사도 전치사와 함께라면 타동사처럼 사용될 수 있다.

account for ~을 설명하다

dispose of ~을 처분하다

refrain from ~을 삼가다

add to ~에 더하다

graduate from ~를 졸업하다

respond to ~에 응답하다

agree with/to ~에 동의하다

head toward ~로 향하다

run into 우연히 마주치다

apology to ~에게 사과하다

interfere with ~에 간섭하다

share with ~와 공유하다

arrive at/in ~에 도착하다

listen to ~을 듣다

specialize in ~을 전문으로 하다

complain about ~에 대해 불평하다

look for ~을 찾다

succeed in ~에서 성공하다

contend with ~와 경쟁하다,

major in ~을 전공하다

sympathize with ~을 동정하다

contribute to ~에 기여하다

object to ~에 반대하다

take after ~를 닮다

deal with ~을 처리하다,

proceed with ~을 진행하다

talk about ~이야기하다

depend on ~에 의지하다

react to ~에 반응하다

wait for ~를 기다리다

 

 

accompany with ~와 동행하다

obey to ~에 순종하다

address to ~에게 연설하다, ~을 다루다

oppose to ~에 반대하다

answer to ~에 대답하다

reach to ~에 도착하다

approach to ~에 다가가다, 접근하다

resemble with ~와 닮다

attend in ~에 참석하다

survive from ~에서 살아남다

approve for ~에 대해 승인하다

visit to ~에 방문하다

 

 

사람만을 목적어로 취하는 타동사는 따로 기억해둔다.

advise + 사람 ~에게 조언하다/알리다

convince + 사람 ~에게 납득시키다

notify + 사람 ~에게 통보하다

tell + 사람 ~에게 말하다

assure + 사람 ~에게 확신시키다

inform + 사람 ~에게 알리다

remind + 사람 ~에게 상기시키다

 

 

-thing, -body, -one으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수식하는 형용사가 뒤에 온다.

 

something, anything, nothing, somebody, anybody, nobody, someone, anyone 등의 대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

 

 

argumentative 논쟁적인 arguable 논쟁의 여지가 있는

moderate 절제하는 modest 겸손한

beneficial 유익한 beneficent 자선심이 많은

noticing 인지하는 noticeable 눈에 띄는, 확연한

comparable 견줄 수 있을 만한 comparative 비교의

profitable 이득이 되는 proficient 능숙한

considerable 상당한 considerate 사려 깊은

reliant 기대는, 의지하는 reliable 신뢰가 가는

respectable 존경할 만한 respective 각각의

responsible 책임이 있는 responsive 응답하는

sensible 분별력 있는 sensitive 예민한

successful 성공한 successive 연속적인

general 일반적인 generous 관대한

industrious 근면 성실한 industrial 산업의

 

 

be able to + 동사원형 ~할 수 있다

be absent from ~에 결석하다

be aware of ~을 알고 있다.

be capable of ~할 만한 능력이 있다.

be confident of ~을 확신하다

be eligible for ~할 자격이 be entitled to + 명사/동사원형 ~에 대한 자격이 주어지다 be familiar with ~에 익숙하다 be likely to + 동사원형 ~하기 쉽다 be responsible for ~를 담당하다, 책임지다 be responsive to ~에 대해 응답하다 be subject to + 명사 ~의 대상이 되다, ~하기 쉽다 be willing to + 동사원형 기꺼이 ~하다 

 

‘~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those who~

those who + 복수동사 ~하는 사람들

anyone who + 단수동사 ~하는 사람은 누구나

those with/in ~를 가진/에 있는 사람들

 

 

 

 

<부정대명사 + of the + 명사> 형태로 쓰임.

CHECK POINT 1. 어떤 무리들 중의 (수적인) 부분을 나타냄

one each

of the + 복수명사 + 단수동사~

들 중에

하나 각각

 

many a few few several both

of the ~ 복수명사+ 복수동사 ~

들 중에 많은 몇몇 얼마 안되는 몇몇 둘 다

 

 

 

어떤 무리들 중의 (/수적인) 부분을 나타냄

 

much

a little

little of the + 불가산명사 + 불가산명사 + 단수동사

~들 중에 많은 몇몇 얼마 안되는

 

all most some of the +복수명사+ 복수동사 ~들 중에

불가산명사+단수동사

모두

대부분

몇몇/일부 

much, a little, little, less + 불가산 명사

 

many, a few, few, several, a couple of, a number of +복수명사

 

a lot of, a variety of + 복수명사/불가산명사

 

혼동하기 쉬운 가산/불가산 명사

 

가산명사

a request 요청 a result 결과 standards 기준

a statement 명세서 a price 가격 a refund 환불

measures 수단 an estimate 견적서 an account 계좌

an exhibition 전시회 a proposal 제안서 a report 보고서

 

불가산 명사

evidence 증거 information 정보 knowledge 지식

stuff 물건, advice 조언 furniture 가구 luggage

baggage behavior 행동 traffic 교통 work , 일터

weather 날씨 clothing 의류 


억약이 거의 비슷하네요



신용카드 관련 범죄 수사

1.  신용카드 위변조

2.  카드부정발급

3.  매출전표 불법유통

4.  신용카드 불법할인 대출

5.  신용카드 부정발급 대행

6.  분실 도난카드의 부정사용

7.  가맹점 수수료 전가행위

 

인터넷 다단계-피라미드관련적용법률

가. 관계기관에 미등록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

 

인터넷 명예훼손관련 적용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인터넷 카드깡 관련 적용법률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

 

병역기피사이트 형법 제114조 제2항 병역거부단체조직가입죄, 병역법 제88(입영의기피)

 

인터넷문신사이트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부정의료업자의 처벌

 

주민등록생성기 주민등록법

 

가짜상품 상표법, 사이트는 전기통신법

 

전자우편주소의 무단수집 및 판매행위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제50조의 2

#도교법 제80조 (운전면허)

*도로교통법 제43조 (무면허운전등의 금지)

만약 도로가 아니면 불처벌

사고시 -교통사고 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무면허 원동기장치자전거

도로교통법 제 154조 제2호

3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의 형

 

*임시운행 허가기간이 끝난차량

무등록차량 - 자동차관리법 제80조 1호

동법제5조 (형사입건) 동법제27조 제3항 위반 관태료 +도로교통법 제93조 제1항 제16호 필요적 면허취소

 



 

아 리얼하다
양키들의 표현력..... 배우고 싶다 ㅋㅋㅋㅋㅋ

정보의 효용

1.통제효용:정보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만큼’ 제공되도록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차단의 원칙과 유사한 것으로 통제성격이 있다.

2.형식효용:정보는 정보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형식’에 부합될 때 형식효용이 높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예컨대 전략정보는 정책결정자가 다루는 만큼 중요한 요소만을 축약해 놓는 형태(1면주의)가 보편적이고 전술정보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정책결정자나 실무자에게 제공되므로 전략에 비해 상세하고 구체적인 형태(형식)가 바람직하다.

3.소유효용:정보는 상대적으로 많이 ‘소유’할수록 집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글자 그대로 ‘소유’에 초점이 있다. 예컨대 정보를 질과 양적으로 많이 소유한 나라가 상대적으로 적은 나라보다 힘 있는 나라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정보화 시대에 나온 말이다.

4.접근효용:정보는 정보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5.시간효용:이는 정보사용자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 제공될 때 시간효용이 높다는 것으로 적시성과 유사한 개념이다.
한국경찰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





가. 고구려의 무려라는 요서 지방에 설치한 일종의 국경경비대이다. (o)
나. 국가 또는 왕권의 존립에 반대하는 반역죄를 특히 엄벌하였고, 백제의 경우 배공영사죄를 처벌함으로써 공무원들의 범죄가 새롭게 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x) 배공영사죄->관인수재죄
다. 고려시대의 위아를 현재의 경찰서로, 현위를 경찰서장으로 이해하려는 견해가 있다. (o)
라. 조선시대(1392)에 와서는 순군만호부로 하여금 경찰의 임무인 순찰․포도․금란을 담당하게 하였고, 이에 조선의 순군만호부를 최초의 전문적인 경찰기관이라고 평가하는 견해도 있다. (o) 성종때까지 순군만호부 존속
마. 조선시대의 다모는 여자관비 경찰로서 양반집 수색 등을 수행한다. (o)
바. 암행어사는 초기에는 정보경찰로서 활동을 하였지만, 후기에 감독․감찰기관으로 발전하였다. (o)
사. 수성금화사는 소방기능을, 순청은 야간순찰을 담당한다 (o)

1···5678910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