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공전선(架空電線, Aerial wire, Over head conductor, overhead wire)

 

   전기를 흘리기 위한 전선을 허공에 건너질러 설치한 전선으로, 대개 나선(裸線)을 사용하지만, 저압배전선과 같이 건물이나 나무 가까이에 가설하는 전선로에는 절연전선이 사용된다.

 

 

◈ 가공지선(架空地線, Over head earth wire)

 

   낙뢰로부터 송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체(導體)위쪽에 도선과 평행하게 가설한 금속선으로 낙뢰전류는 가공지선에서 철탑을 거쳐 땅으로 유도된다.

 

 

◈ 가공인입선(架空引入線, Aerial lead in or aerial service drop)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가공 전선의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수용장소의 인입선 붙임점에 이르는 가공전선.

 

 

◈ 가변 저항기(Adjustable resistance)

 

   흔히 볼륨이라 불리며,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 가능한 접촉자를 이동하여 고정시켜서 그 저항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저항기로 주로 음향조절기로 쓰인다.

 

 

◈ 가소성소성(可塑性塑性,Plasticity)

 

   물체가 외부에서 전해져 오는 온도나 압력 등으로 인해 형체가 변형된상태에서 영향력을 완전히 제거해도 원래모양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영구 변형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대응용어: 경화성/硬化性)

 

◈ 가스(Gas)

 

   완전한 분자 기동성과 무제한적 팽창으로 특징지어지는 물질의 물리적  상태로서 기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가스용접(Gas welding)

 

   가스의 연소열로 금속을 녹이는 것으로 산소-아세틸렌, 산소-LPG가 주로 쓰인다.

 

 

◈ 가스차단기(Gas circuit breaker)

 

   차단기 충전 극간 공간을 공기 대신 절연내력과 소호 능력이 뛰어난 비활성 압축가스(SF6)를 사용하여 차단성이 좋고 조작시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고가이며 설치 면적이 커 대부분 초고압 차단기로 많이 사용된다.

 

 

◈ 가연물(可燃物, Combustible, Inflammables)

 

   기체, 액체, 고체 등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불에 타는 모든 물질.

 

   참조용어: 불연성, 이연성, 난연성, 속연성

 

 

◈ 가연성(Combustibility)

 

   물질이 연소될 수 있는 것.

 

 

◈ 가요전선관(Flexible conduit)

 

   구부리기 쉽게 주름 구조로 만든 전선관.

 

 

◈ 가용성(可溶性, Fusibility)

 

   물질이 액체에 잘 녹는 성질. 소금은 물에 대한 가용성이 높지만 기름은 물에 대한 가용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참조용어: 불용성, 난용성(難溶性).

 

 

◈ 가용성(可鎔性, Fusibility)

 

   금속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잘 녹는 성질.

 

 

◈ 간선(幹線, Trunk[main] line)

 

   인입구(引入口)에서 분기 과전류개폐기에 이르는 배선으로서 분기회로(分岐回路)의 분기점(分岐點)에서 전원측(電源側)의 부분을 말함.

 

 

◈ 간접단락(間接短絡, Indirect short circuit)

 

   접지(接地)가 되어 있지 않는 금속물이 동시에 양쪽 전극(電極)에 접촉함으로서 그 금속체를 통해 흘러서는 안될 전류가 이극간에 흐르는 상태.

 

   참조용어 : 직접단락

 

 

◈ 간접접촉(間接接觸, Indirect contact)

 

   전기 계통의 절연 파괴로 인해 한쪽 극성이 금속체에 닿아 전류가 누설되고 있을 때 그 금속에 인체나 반대 극성의 회로가 접촉하는 상태.

 

 

◈ 감식(鑑識, Identification)

 

   화재원인을 판정을 위해 현장 상황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적용하여 시각적 물증을 바탕으로 구체적 사실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 것을 말함.

 

 

◈ 강소흔(强燒痕, Extreme burning sign)

 

   단어가 뜻하는 것처럼 불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심하게 탄 흔적으로  900℃ 수준의 불에 탄 나무 표면층에서 나타나는 균열흔.

 

 

◈ 강전(强電, Strong electric current)

 

   전기로 사용하는 직류 30Vdc이상 또는 2차 전지와 교류 전기중 60Vac 이상의 대전류(大電流), 고전압(高電壓), 대전력(大電力)의 전기.

 

   참조용어 : 약전

 

 

◈ 강제급배기식(FF, Forced supply exhaust type Forced draught balance flue type)

 

   급기/배기통을 옥외로 노출시켜 급배기를 송풍기에 의해 강제로 하는 방식.

 

 

◈ 강제배기식(FF, Forced exhaust type Forced draught flue type)

 

   급기는 실내에서 취하고 배기는 송풍기로 강제로 배출하는 방식.

 

 

◈ 개구부(開口部, Opening)

 

   공기의 흐름이나 사람의 통행을 차단하지 않고 열릴 수 있거나 벌어져 있는 부분으로, 여닫을 수 있는 창문과 출입문, 틈새와 구멍 등의 따위.

 

   참조용어 : 통기공

 

 

◈ 개소(個所箇所 Spotpart)

 

   어떤 장소, 영역 및 범위속에서 매우 좁게 특별하게 정해서 낱낱으로 구분해 놓은 곳.

 

 

◈ 개체(個體箇體 Individual)

 

   성질 등에 있어 서로 간에 따로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각각의 물체나 물건.

 

 

◈ 개폐단속(開閉斷續, Make and break of circuit)

 

   전기회로에서 스위치의 접점이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 on() 또는 off()의 상태로서 회로를 이어주거나 끊어주는 것.

 

 

◈ 개폐 서지(開閉Surge, Switching surge)

 

   전기 스위치의 접점이 열리거나 닫히는 순간 각각의 상황에서 접점  사이에서 스파크(Spark)가 발생하며 순간적으로 정상 전류가 과도 전류(過渡電流)로 변하거나 큰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

 

◈ 객체(客體, Object)

 

   작용의 대상이 되는 쪽 또는 생각과 행위가 미치는 쪽의 목적 대상물.

 

 

◈ 건성유(乾性油, Drying oil)

 

   공기중에 두면 산소를 흡수해 말라서 굳어 버리는 기름으로, 요오드가 (Iodine value) 130이상인 동식물성 기름.

 

   참조용어 : 반건성유, 불건성유

 

 

◈ 결로(結露, Dewing)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내려갔을 때, 공기속의 수증기가 이슬로 맺히며 물체의 표면에 물방울이 되어 달라 붙는 현상.

 

   참조용어 : 응축

 

 

◈ 결정(結晶, Crystal)

 

   원자, 분자, 이온 등이 대칭적, 주기적 등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면체 (多面體)의 고체.

 

 

◈ 결정립계(結晶粒界, Grain boundary)

 

   녹아있던 금속이 굳어지게 되며 결정이 커질 때 가까이 위치한 다른  결정의 성장면이 서로 닿게 되면서 그 자리에 생기는 경계선.

 

 

◈ 결정성장(結晶成長, Crystal grain growth)

 

   결정립의 크기가 온도의 상승과 함께 커지고, 어느 온도 이상에서 결정간에 병합이 되어 커지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서 기계적, 화학적,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 경금속(輕金屬, Light metals)

 

   물과 비교한 비중이 대개 45이하에 속하는 알루미늄,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및 이것들을 주체(主體)로 만든 합금의 금속.

 

   참조용어 : 중금속

 

◈ 경소(輕燒, Slight destruction by fire)

 

   순수하게 불에 타버린 부분이 일반 물건의 경우 10% 미만인 수준이고, 건물의 경우에는 소손 면적이 10%미만과 함께 소손 상면적이 1㎡미만의 것 또는 건물속에 들어있는 물건만을 태운 정도.

 

 

   소손 수준의 크기순은 전소(全燒)> 반소(半燒)> 부분소(部分燒)> 경소(輕燒)> 국소(局燒)> 극소(極燒)

 

◈ 계(, System Line)

 

   원리나 법칙에 따라 사물 사이에 있는 일반적이고 순서적인 관계 또는 조직적인 관계의 계통.

 

 

◈ 계(, Boundary Circle)

 

   성질, 목적 등 같은 것이 안 패 또는 하나의 영역을 이루고 있는 무리의 경계선이나 그 범위의 가장 바깥 한계선.

 

 

◈ 검댕(Soot)

 

   화염에서 생성된 탄소의 검은 입자.

 

 

◈ 결로(Dewing)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었을 때 공기 속의 수증기가 액화하여 이슬로 맺혀지는 현상.

 

 

◈ 결함(Failure)

 

   장치, 부품설비, 구성요소 또는 구조 시스템내의 파손, 변형 등으로 기능에 있어 만족하지 못하는 성능을 내는 것.

 

 

◈ 경년열화(經年劣化)

 

   오랜 시간 또는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할 때 물질이나 부품 등 재료의  절연특성이 점차 나빠지는 변화.

 

◈ 고온층·열파(高溫層·熱波, Heat wave front)

 

   정제(精製)되지 않은 중질원유(重疾原油)가 연소하고 있는 것과 같이  가연성 액체의 높은 온도가 액의 표면뿐 아니라 액의 표면에서부터  상당히 아래로 내려가 있는 그 부분.

 

 

◈ 고유저항(固有抵抗)

 

   한 변의 길이가 1m인 정육면체의 대향면 간의 저항을 말하며, 단위는 옴미터(Ωm)이다.

 

 

◈ 고전압(High voltage)

 

   직류 750V, 교류 600V를 초과하고 7,000V 이하인 전압.

 

 

◈ 고조파(高調波)

 

   주기적 정현파의 성분 중 기본 주파수(50/60)이외의 주파수.

 

 

◈ 고주파(高周波)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를 칭하며 전려계에서는 상용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를 , 통신계에서는 가청 주파수대인 16~20,000㎐ 이상의 주파수를 가리킨다.

 

 

◈ 고주파 유도가열(誘導加熱)

 

   고주파 자기장 속에 전기적 양도체(良導體)인 피가열체를 놓으면 양도체에 생기는 맴돌이 전류의 손실이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손실로 인해 스스로 발열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

 

 

◈ 고주파 유전가열(高周波 誘電加熱)

 

   고주파 자기장 속에 절연물을 놓으면 절연물의 유전체 손실 때문에 피가열체 자체가 발열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

 

 

◈ 고화·고체화(固化·固體化, Hardenability, Congeal)

 

   액상(液狀)의 물질이 굳어져서 고체화되는 것.

 

   대응용어: 기화, 액화

 

 

 

◈ 고형물(固形物, Solid body)

 

   질이 단단하게 굳어진 일정한 형체의 고체.

 

 

◈ 공소(空疎, Porous)

 

   속이 텅 비어 있거나 세포가 띄엄띄엄 떨어져 있는 것.

 

   참조용어 : 다공질, 기공, 소혈

 

 

◈ 공용 배전반(共用配電盤)

 

   소방회로 및 일반 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개폐기, 과전류 차단기, 계기, 그 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 공용 분전반(共用分電盤)

 

   소방회로 및 일반 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 차, 그 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 공용접지(共用接地)

 

   각기 다른 목적이나 종류의 여러 가지 기기를 1개소 혹은 수 개소에 시공한 공통의 접지 전극에 함께 접지하는 방법으로 접지선을 공동으로 사용하여 연접하거나 금속으로 된 건축구조물에 접지선을 접속하는 방법 등이 있다.

 

 

◈ 공조설비(空操設備, Air handing system)

 

   건물 내의 공기를 배출해 정화하고 다시 되돌려 보내기 위한 팬(fan), 덕트(duct), 제어장치, 댐퍼(damper), 여과장치, 흡입구 및 냉온방장치 등의 전체적인 설비.

 

 

 

◈ 과부하(過負荷, Over load)

 

   표준 정격이나 전체의 부하(全負荷)정격을 초과해서 장비가 운전되거나 전선에 허용전류나 전압을 넘는 전류가 흐르고 가해질 때 정격 용량의 전력이나 운전시간을 초과하는 것과 같이 비정상적인 큰 부담으로 동작하는 상태.

 

 

◈ 과부하 전류(過負荷電流, Overload current)

 

   전기 기기에 대하여는 그 정격 전류, 전선에서는 그 허용 전류를 초과하여 계속 흐르게 되면 기기 또는 전선이 손상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차단을 필요로 하는 전류.

 

 

◈ 과전류(過轉流, Over current)

 

   장치의 정격용량이나 전선의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로서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 단락에 의한 과전류, 지락에 의한 과전류 등이 있다.

 

 

◈ 과전류차단기(過轉流遮斷器, Over current circuit breaker)

 

   전로(電路)에 이상과전류(異常過轉流)가 생기는 경우 이것을 검출(檢出)하여 전로(電路)를 자동적으로 차단(遮斷)하는 장치(裝置), 배선용 차단기, 퓨즈, 기중차단기(ABC)와 같이 과부하 전류 및 단락 전류를 자동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구를 말한다.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저류가 흐를 때 회로를 차단하는 기기

 

   부하측 전로(電路)에 이상 과전류가 생기는 경우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 과전압(過電壓, Overvoltage)

 

   일상적 운전 상태의 평상전압 또는 기기가 허용할 수 있는 정상적 전압의 공급보다 큰 전압.

 

☞ 참조용어 : 내 전압

 

◈ 광물질(鑛物質, Mineral matter)

 

   천연적으로 얻어진 무기질로서 금, , 석탄 등과 같이 질이 균일하고 화학성분이 일정한 물질.

 

◈ 괴상(塊狀, Massiveness)

 

   덩어리가 진 모양.

 

 

◈ 구내(構內, Premisses)

 

   건물, , , 울타리, 도랑 등으로 구분시켜 놓은 구역의 안쪽으로서, 시설 관계자외의 사람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없는 지역과 지형적 또는 사회통념상에 따르는 장소.

 

 

◈ 구내(區內, In area)

 

   어떤 갈라놓은 지역이나 범위의 안쪽.

 

 

◈ 구속 전류(拘束電流, Stalled rotor current·Armature locking current· Locked current)

 

   구동부(驅動部)를 가지고 있는 전기 기기의 운동부가 어떤 이유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반구속 상태에 있을 때 흐르는 전류.

 

   참조용어 : 반구속, 슬립

 

 

◈ 구조물(構造物, Structure)

 

   좁은 의미에서는 건물이외의 것을 뜻하며, 땅속이나 땅위에 인공적으로 고정시켜 놓은 것.

 

 

◈ 구축물(構築物, Construction)

 

   건축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건물 외의 건조물 전체를 말하며, 철도 궤도사업용, 발전송전배전용, 방송무전통신용, 경기장유원지용 건조물, 정원, 포장도로, 대문, 선전탑 및 기타 그 와 비슷한 것.

 

◈ 구획(區劃), Boundary)

 

   어떤 장소, 공간, 대상물 등에 대해서 의도하는 목적에 맞게 부분적으로 경계를 두어 갈라놓은 범위, 영역 또는 장소.

 

 

◈ 국소국부소손(局所局部燒損 Local destruction by firesmallish destruction by fire)

 

   불에 타서 파괴된 면적과 정도가 극히 좁고 아주 가벼운 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 대개 약간 타다가 연소가 조기에 중지된 것, 일부에서는 이것을 즉소(卽燒 , 조기소화)라고도 함.

 

   참조용어 : 전소, 반소, 부분소, 경소, 극소

 

 

◈ 굴뚝효과·연돌효과·드래프트효과(煙突效果, Chimney effent·Stack  effect·Draft effect)

 

   어떤 구조물의 외부와 내부사이 또는 내부 공간의 온도와 압력의 차이로 인해 공간속 또는 대기중에서 밀 도차(密度差)가 생길 때 발생하는 수직적 상승과 하강기류(垂直的上昇·下降氣流).

 

 

◈ 균열흔(龜裂很, Burning chap mark)

 

   불에 타고난 후의 나무 또는 목재의 겉면은 가스 분출구와 탄화층()에 의해서 무늬 모양이 마치 거북이의 등처럼 거칠게 갈라지고 터진 흔적.

 

   참조용어 : 열소흔, 강소흔, 완소흔

 

 

◈ 그라파이트화(흑연화·석묵화, 黑鉛化·石墨化, Graphitization)

 

   유기절연체가 전기스파크에 의해 절연체 표면이 미소하게 탄소로 변하는 현상이다. 탄화된 부분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전류에 의해 줄열이 발생하면서 탄화범위는 입체적으로 확대된다. 결국은 전류와 발열량이 증가하여 출화에 이르게 된다.

 

   참조용어 :탄화도전로

 

 

◈ 그을음(Soot)

 

   화재시 가연성 물질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검은 먼지 같은 가루.

 

 

◈ 극소(極小 Infinitesimal destruction by fire)

 

   불에 타서 파괴된 면적과 정도가 극히 미약하고 작은 수준에서 일부분이 약간 타나 연소가 중지된 것이 해당되며, 예를들어 전기 기기의 회로중에서 1~2개 정도의 부품이나 부위만이 불꽃이 발생하며 연소(燃燒)한 흔적은 있지만 그 기기 외곽 주변에 그을림 등의 오손(汚損)피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상태와 같은 수준.

 

   참조용어 : 전소, 반소, 부분소, 경소, 극소

 

 

◈ 금수성 물질(禁水性物質, 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inflammable gases)

 

   공기속 습기를 흡수한 다든지 물기와 접촉하면 불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높은 열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물질.

 

 

◈ 급전(給電, Feeding)

 

   전기를 공급하는 것.

 

 

◈ 기계(機械, Machine)

 

   동작할 때 움직이는 운동을 하는 물건으로 자동차, 세탁기, 펌프와 같은 것.

 

   참조용어 : 기계(器械), 기기(機器)

 

 

◈ 기계(器械, Apparatus)

 

   동작할 때 움직이는 운동부가 없는 도구와 기물(器物).

 

   참조용어 : 기계(機械), 기기(機器), 기구(器具)

 

 

◈ 기공(氣孔, Pore)

 

   어떤 물체의 표면이나 그 안에 가스가 차서 생기는 작고 미세한 공기 구멍 또는 비어 있는 자리.

 

   참조용어 : 공소, 핀홀

 

 

◈ 기구(器具, Tools)

 

   구조와 조작 등이 간단한 기계(器械)의 형식을 갖춘 도구 및 연장.

 

 

◈ 기구(機構, MechanismSystemStructure)

 

   기계의 복잡한 내부 구조 및 집단적인 조직의 구조, 또는 어떤 과정을 거치며 변화해가며 만들어진 결과에 대한 전체와 같이 하나의 계통적인 모양을 이루고 있는 구조적인 체계.

 

 

◈ 기기(機器, Appliance Equipment)

 

   기구(器具), 기구(機具), 기계(器械), 기계(機械)의 전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기상·기체상(氣狀·氣體相, Vapor state)

 

   물질이 기체로 되어 있는 상태.

 

 

◈ 기상·기체상(氣相·氣體相, Vapor phase)

 

   기체의 어느 부분을 취해도 물리, 화학적으로 균일한 성질을 나타내는 상태.

 

 

◈ 기상폭발(氣相爆發, Vapor phase explosion)

 

   기상 폭발에는 가스 폭발, 분무 폭발(噴霧爆發), 분진폭발(粉塵爆發),  분해폭발(分解爆發)등이 있음.

 

 

◈ 기인(起因物, Cause element)

 

   무슨 일을 일으킨 근원이 된 물건, 물질 또는 요소(要素)를 이르는 말.

 

◈ 기자재(機資材, Machinery, apparatus, implement, tool and materials)

 

   어떤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 기구(기기) 및 자재.

 

 

◈ 기전력(起電力, Electromotive force)

 

   회로내의 두점 사이에 전위차를 두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작용으로 회로를 열었을 때 단자 사이의 전위차이다.

 

 

◈ 기중차단기(ABC ; Air circuit breaker)

 

   전로를 차단하려면 고정접촉자(固定接觸子)와 가동접촉자(可動接觸子)를 두고 항상 이들을 밀착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선로의 어디에선가 고장으로 인해 큰 전류가 흘렀을 때에는 신속히 가동부를 고정부에서 분리에서 전류를 끊어야한다. 이 때에 반드시 아크가 발생하는데, 이 아크를 끄는 것이 가장 문제가 되며, 이 때문에 양 접촉자를 공기 속에 놓고 접촉자를 분리시키는 한편 압축공기로 불어서 아크를 끈다.

 

 

◈ 기화(氣化, Evaporation)

 

   액체가 증발해서 기체가 되는 것과 고체가 기체로 변하는 승화(昇華)현상.

 

 

◈ 끓는점(Boiling point)

 

   액체가 끓기 시작하는 온도 또는 액체의 증기압이 외부의 압력과 같아지는 온도로서 외부의 압력에 따라 변하게 된다.

+ Recent posts